본문 바로가기
  • 일하면서 배운 내용 끄적이는 블로그

SQL3

[Oracle] 계층형 쿼리, 의사컬럼 최근 특정 부서의 상위 부서 목록을 긁어오는 쿼리를 봤는데 계층형 쿼리라는것을 사용해서 아주 쉽게 가져오는것을 봤다. 예전에 교육받는중에 팀프로젝트 진행할때 비슷한 기능을 구현해본 경험이 있었는데 반대로 하위 부서 목록을 긁어오는 기능이었다. 그땐 그냥 부서 리스트를 depth순으로 전부 뽑아온 다음 (상위부서~ 하위부서 순서) 하위부서 목록을 담을 array를 하나 만든 다음 for문을 돌면서 해당 부서의 상위부서의 id가 하위부서목록 array에 존재하면 (in 을 썼던거같다) 하위부서 목록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을 했었다. 그런데 계층형 쿼리를 사용하면 이런 방식이 아니라 그냥 쿼리레벨에서 간단하게 가져올수 있었다. 계층형 쿼리란 계층형 쿼리란 테이블에 계층형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조회하기.. 2024. 3. 21.
[MYSQL] 삭제된 행 수 리턴 이후 Repository에서 public int deleteGuestBook(int id) { sqlsession.delete("guestbook.deleteGuestBook", id); int count = sqlsession.selectOne("guestbook.getDeletedCount"); return count; } 따로 리턴 2024. 3. 4.
[MYSQL] limit 예시 SELECT id, name, content, regdate FROM guestbook ORDER BY id DESC limit #{start}, #{limit} #{ }는 Mybatis 사용중이라 사용 start 부터 limit 개를 출력하라 라는 뜻 start = 0, limit = 5면 처음부터 5개 출력(0부터 시작이라고 한다) 파라미터를 하나만 사용 시 처음부터 limit개만 출력 가능 SELECT id, name, content, regdate FROM guestbook ORDER BY id DESC limit #{limit} 2024. 3. 4.